중앙아시아의 역사 본문
중앙아시아의 역사
- 2025. 5. 6. 08:35
# 실크로드
비단길이라는 의미로, 이 무역로를 따라 오고 간 상품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비단이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중앙아시아를 지나는 동서양의 교통로로, 오아시스 도시를 경유하는 사막길을 가리킨다. 그 길이는 6,400km에 달하며, 중국에서 타클라마칸 사막, 마리르 고원, 중앙아시아 초원, 이란 고원을 지나 지중해에 이르는 길이다.
1. 중앙아시아 초원유목문명의 태동
- 안드로노보문화 : 유목문화로 기원전 1700년경부터 흉노제국과 돌궐제국 시대까지 번성
- 스키타이 : 중앙아시아 초원지대를 무대로 성립된 최초의 유목국가. 그리스, 중국 북방, 한반도까지 영향
2. 흉노-돌궐의 시대
2-1. 훈족의 등장과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
2-1-1. 훈족
- 후일 유럽 역사에 등장하여 민족 대이동을 유발시킴
- 일반적으로 흉노와 동일한 종족으로 봄 → 훈(Hun)제국의 지배층이 사용한 칭호나 직책, 부족 이름 등이 흉노와 거의 같고, 문화적으로 닮은 점이 많이 발견되기 때문
2-1-2. 흉노
- 기원전 3세기에 중앙아시아 초원지대 통일. 진, 한을 위협하는 강력한 세력
- 2세기 : 몽골고원 동부에서 흥기한 선비가 새로운 초원의 패자가 됨
- 5세기 : 몽골초원에서 유연이 흥기하여 중앙아시아에서 세력 떨침 → 북위의 견제로 발전하지 못함
2-2. 돌궐의 등장과 성장
- 유연을 몰아내고 535년경 건국
- 수나라와 각축을 벌이다 당나라에 복속
- 743년에 위구르제국에 편입
3. 실크로드와 동서 문화교류
- 동서양을 잇는 실크로드 : 유라시아 대륙을 관통하는 대상로
- 오아시스를 경유하는 사막길
- 초원을 동서로 관통하는 초원길
- 15세기에 이르러 해상무역을 뒷받침한 남중국해와 인도양을 통과하는 바닷길
- 동서교역 : 조로아스터교, 불교, 이슬람교 등이 종교와 비단, 제지기술 및 작물 전파
4. 중앙아시아의 이슬람화와 문명의 성숙
- 아랍의 진출 : 7세기 중엽 중앙아시아 서부 오아시스지대로 진출
- 점진적인 이슬람화
- 사만조 : 751년 탈라스전투 이후 성립. 이란-이슬람 왕조 → 수학, 천문학 등 자연과학과 문화의 발달을 바탕으로 튀르크계 유목민의 군사력과 오아시스 정주민의 경제력 결집 → 이슬람화의 추세 공고화
- 10세기에 이루어진 카라한왕조의 개종 → 14세기 전반 중앙아시아의 거의 전역에서 이슬람 수용
5. 몽골제국과 티무르제국
5-1. 몽골제국의 문화적 성격
- 테무친 : 1206년경 몽골제국 수립, 칭기즈 칸에 추대
- 호라즘왕국을 격파하여 아시아와 유럽을 아우르는 대제국 건설
- 몽골제국의 분할 상속 : 차가타이 한국, 오고타이 한국, 중국의 원나라 수립
- 원나라 : 아시아와 유럽에 걸친 몽골제국을 바탕으로 동서교통로를 정비하고 역참제를 실시하여 육로무역을 활성화, 인도양을 거치는 해상무역 장려
5-2. '동방의 로마' 티무르제국
- 1369년 티무르가 아미르(왕)로 즉위 : 활발한 정복전쟁 수행
- 몽골제국의 뒤를 이어 중앙아시아를 통일하고 사마르칸트를 수도로 삼음
- 정치적 슬로건으로 몽골제국의 후예 자처
- 종족과 문화적으로는 튀르크문화 표방
- 사마르칸트 : 정복지역에서 데려온 기술자, 장인과 학자, 무인 우대로 번영
5-3. 티무르제국 이후의 중앙아시아
티무르 사후 제국의 분열
→ 1526년 티무르제국의 유산은 왕자 바부르에 의해 인도의 무굴제국으로 이어짐
→ 혼란을 겪은 티무르제국에는 현재 카자흐인들의 조상이 되는 카자흐 한국 수립
6. 청조와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지배
6-1. 청조의 중앙아시아 지배
- 만주에 대한 명나라의 통제력 약화 → 누르하치가 여진 부족 통일 → 1616년 후금 수립 → 청나라 수립 → 중앙아시아를 청이 지배
- 중앙아시아의 무슬림 : 반청봉기
- 1864년 야쿱 벡이 신장을 중심으로 위구르 이슬람 국가 수립
- 청은 1877년 신장을 정복해 1884년 이 지역을 중국 영토로 편입시킴
6-2. 러시아의 서투르키스탄 지배
-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을 일컬음
- 16세기 중반부터 러시아의 침략을 받아 식민지화 : 반이슬람정책과 이슬람의 저항
- 19세기 후반에 중앙아시아에 대한 러시아 점령 완료 → 무슬림들의 자각 → 교육개혁을 요체로 하는 자디드운동
7. 현대의 중앙아시아
7-1. 동투르키스탄
- 위구르 지도자들은 1933년 카슈가르에서 동투르키스탄 이슬람 공화국 수립
- 신장 : 중화인민공화국에 흡수되어 신장위구르자치구 성립 → 독립투쟁
7-2. 서투르키스탄
- 1917년 10월 혁명(러시아혁명) : 서투르키스탄에 소비에트 정권 수립
- 1980년대 말 구소련 붕괴 :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아제르바이잔 등 중앙아시아 공화국의 독립
반응형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