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시아의 역사 본문
서아시아의 역사
- 2025. 5. 6. 08:20
# 오리엔트
기원전 3,000년 경부터 서아시아와 나일강 유역에서 전개된 인류 최초의 고대 문명과 문명이 위치한 지역을 뜻한다.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사이 메소포타미아 지방에서 수메르인들이 도시국가를 형성하고 최초의 문명생활을 시작했다. 이들은 점토판에 쐐기문자로 기록을 남기고, 달력, 청동기, 점성술 등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나일강 유역에서는 이집트가 고대 왕국을 이룩해 피라미드 등 대규모 건축물을 남겼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은 지리적으로 개방되어 있어 바빌로니아왕국, 히타이트족, 페니키아, 헤브루왕국, 아시리아제국, 페르시아제국과 마케도니아왕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민족의 침입과 제국의 흥망성쇠를 겪었다.
1. 인류의 본향인 서아시아의 어제와 오늘
- 문명이 시작된 지역
- 오리엔트문명은 유럽에 전파되어 그리스-로마 문명의 토대를 제공
- 수렵 채집 시대에도 고도의 분화된 문명이 존재 : 1만 2,000년 전의 유적인 괴벡리테페 신전유적과 차탈휘위크의 정교한 문명
2. 인류문명의 탄생과 오리엔트 고대 역사
- 메소포타미아문명
- 메소포타미아 :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의 두 강 사이
- 기원전 3,000년경부터 문명 발달
- 개방된 지형 탓에 침략으로 인한 복잡한 역사 전개
- 여러 오리엔트 국가
- 동부 지중해 연안의 이집트
- 초승달 지역의 페니키아, 헤브루 왕국
- 페르시아 제국
- 기원전 6세기에 이집트와 오리엔트 정복
- 탄탄한 통치구조를 바탕으로 팽창 지속 → 그리스 정복 시도 → 실패
- 마케도니아 : 알렉산드로스 왕이 페르시아 대체
- 약화된 마케도니아 : 서아시아가 동로마제국과 사산조 페르시아의 격돌장으로 변화
3. 이슬람교의 탄생과 이슬람제국의 형성
3-1. 이슬람교의 성립과 종교적 특징
- 무함마드 : 이슬람교를 창시
- 혜지라와 메카 정복(630) : 교세 확장
3-2. 정통 칼리프시대
- 칼리프 : 정치와 종교를 관장하는 이슬람세계의 최고 통치자
- 정통 칼리프 시대 : 급격한 정복사업으로 부족들 간의 이견과 이해관계의 대립 초래
- 무아이야와 알리의 갈등 끝에 이슬람 공동체는 우마이야왕조로 통일, 시아파 이탈
4. 이슬람제국의 전성기
4-1. 아랍인 중심의 우마이야 왕조
- 세습적인 신분제를 채택하고 정복전쟁 수행 → 스페인 점령 → 프랑크왕국의 샤를 마르텔의 군대에 저지당함
- 정복지 증대로 신분계층 심화 : 마왈리의 불만 → 멸명
4-2. 압바스왕조
- 인종과 민족을 초월한 범이슬람제국 지향
- 비아랍인들의 아랍화 추진, 폭넓은 이슬람문화의 발전 → 오늘날의 아랍권 형성 계기
- 하룬 알-라시드, 마문 칼리프시대에 전성기
- 9세기 중엽부터 급격히 쇠약해져 여러 군소국가로 분열
4-3. 이슬람문화
- 국제성 : 아랍의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오리엔트, 그리스 · 로마, 이란 및 인도 문화 흡수
- 학문 : 종교와 밀접 → 언어학, 법학, 신학의 발달
- 자연과학의 발달 : 수학, 천문학, 의학의 발달
- 예술 : 문학의 발달과 우상숭배 금지로 인한 미술 쇠퇴
5. 튀르크족의 등장과 압바스제국의 멸망
- 11세기 셀주크 튀르크왕조에 의해 이슬람세계 재통일
- 비잔틴군을 격퇴하고 아나톨리아와 소아시아에 진출 : 이슬람화 → 십자군전쟁의 빌미
- 몽골 침략으로 멸망
6. 오스만제국시대
6-1. 오스만왕조의 성립과 콘스탄티노플 정복
- 1299년 오스만 베이에 의해 수립
- 술탄 메흐메트 2세에 이르러 비잔틴제국을 무너뜨리고 콘스탄티노플을 함략
6-2. 오스만제국의 발전과 문화
- 밀레트 제도 : 다양한 이민족의 종교와 문화의 자치성 보장
- 예니체리 : 오스만제국의 최정예 부대로 유럽인들에게 공포심을 심어 줌
6-3. 오스만제국의 쇠퇴와 개혁운동
- 17세기에 들어서면서 쇠퇴
- 17세기의 국가 재건 노력 : 술탄, 재상 중심으로 탄지마트 개혁, 메시루티예트라는 신헌법 제정
- 나름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결국 러시아-터키 전쟁의 패배로 한계에 부딪힘
7. 이란과 아랍의 근대화 운동
7-1. 이란
- 16세기 초 시아파 이슬람교를 국교로 하는 사파비왕조가 수립됨
- 18세기 카자르왕조에 의해 재통일
- 19세기 말 열강의 간섭과 침략
- 알딘 샤 : 영국과 러시아의 점령에 자극받아 입헌혁명 · 근대화 추진 → 러시아 간섭으로 좌절
7-2. 와하비운동
- 오스만제국 치하 18세기 중엽에 벌어진 아라비아 반도 중심의 민족운동
- 와하비왕국의 수립 : 아랍 여러 나라의 독립기반
7-3. 이집트
- 18세기 말 나폴레옹의 원정에 자극받아 근대화 추진
- 재정 지출로 영국의 지배를 받게 됨
8. 오스만제국의 와해와 서아시아의 독립
8-1. 술탄 압둘 하미드 2세와 청년튀르크당
- 압둘 하미드 2세 : 오스만 제국의 개혁조치를 보수정치 회귀로 좌절시킴
- 청년장교 · 젊은 지식인들이 연합진보회, 즉 청년튀르크당을 결성하여 1908년 혁명에 성공
8-2. 오스만제국의 종말과 서아시아의 독립
- 제1차 세계대전의 패전 : 오스만제국 와해
- 본격화된 서구열강의 침탈과 토착민 분열정책 : 오늘날 서아시아의 분열 원인
- 팔레스타인 문제 : 서구열강이 제1차 세계대전의 불리한 전황을 타개하고자 모순된 비밀조약들을 체결
9. 미래를 향하여
- 오늘날의 서아시아 : 산유국, 농업국, 금융허브로 탈바꿈
- 이라크전쟁과 팔레스타인 분쟁해결이 과제
- 내부 개혁과 민주화의 가속화, 여권신장과 시민사회의 형성으로 갈등과 대결보다는 공존하고 협력하는 정책 추구
반응형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