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사 본문

간디(M. K. Gandhi)와 인도사

 

 

 

# 동인도회사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 창립된 뒤 아시아에서 무역을 수행하고, 이후 인도의 무역 및 조세권을 독점적으로 장악한 회사이다. 17세기에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와의 경쟁에서 패배해 인도로 밀려나 영국의 인도 진출을 선도했다. 쁠라시(Plassey) 전투 이후 벵갈 등지의 조세권을 얻었고, 영대 자민다리제를 도입하여 인도에 유럽식의 사적 소유권 제도를 이식하기도 했다. 동인도회사는 영국 정부의 대리인 자격으로 인도를 통치했으나 점차 독점과 착취 문제가 제기되었고, 세포이 반란 이후 영국 정부의 직접 지배에 자리를 비켜 주어야 했다.

 

# 간디(M. K. Gandhi)

이미 18세기부터 인도를 지배하고 있던 영국은 제1차 세계대전 중 인도에 대한 식민 착취를 극대화하고 강권 통치로 일관하였다.간디는 이 시기에 등장해 민족 단합을 기본 전제로 삼아 완전한 자치를 목표로 싸워 나갔다. 간디는 인도국민회의를 이전과는 달리 국민적이며 민주적인 조직으로 바꿨으며, 비폭력으로 저항하는 사띠야그라하(Satyagraha) 운동을 전개했다. 1919년 인도인의 인식적 자유와 언론, 사상, 집회의 자유를 탄압하는 로울라트(Rowlatt)법이 통과되자, 간디는 하르딸(hartal, 파업)을 사용하여 저항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인도 인민은 종파와 관계없이 하나로 단합하여 민족운동에 나서게 된다.

 

 

1. 고대사의 흐름

1-1. 하랍빠시대부터 베다시대까지

  1. 기원전 2,500년경 인더스 강 유역의 하랍빠 · 모헨조다로를 중심으로 도시문명 발달
  2. 베다문화 : 기원전 1,500년경 아리야인이 인도에 들어오면서 하랍빠문화와 아리야문화가 융합. 갠지스 강 유역에서 베다문화 융성
  3. 아리야인: 목축생활 → 토착민 정복 · 동화 → 인도 민족 형성
  4. 기원전 1,000 ~ 600년 사이 갠지스-야무나 두 갓ㅇ 사이의 대평원에서 정착생활 시작
  5. 철제 농기구를 기반으로 농업 발달
  6. 카스트 제도 형성 : 브라만, 끄샤뜨리야, 바이샤, 슈드라 네 계급의 분화

 

1-2. 마우리야시대부터 굽따시대까지

  1. 전개 : 국가 난립 → 마가다제국의 통일 → 하리양까조 → 쉬슈나가조 → 난다조
  2. 불교의 성립 : 카스트제도로 사회에 촉발된 긴장 → 기원전 6세기 62개 종파의 난립 → 불교와 자이나교의 성립
  3. 마우리야제국
    • 기원전 322년경에 짠드라굽따 마우리야에 의해 성립
    • 3대 왕 아쇼까 : 깔링가왕국의 무력 병합 이후 평화주의 정책 채택. 불교 아시아에 전파
    • 멸망 : 군대 유지 비용, 철기문화의 확산, 만리장성 축조에 이은 중앙아시아 유목민의 침입 뿌쉬야미뜨라 슝가에 의해 전복
  4. 페르시아제국과 알렉산드로스의 인도 점령 인도-그리스인 정착 간다라 미술 발전
  5. 굽따제국 성립(4세기)
    • 흰두문화 발달
    • 경제 점차 쇠퇴
    • 고대 문화가 융성 : 서사시, 역사서, 법전 편찬

 

2. 중세사의 흐름

2-1. 초기 중세와 델리술탄시대의 전개

  1. 중세 인도사회 : 약 6~7세기경
    • 서아시아로부터 무슬림세력 침입 인도를 지배하는 세력으로 자리 잡음
  2. 델리술탄조 : 13세기 델리를 도읍으로 하여 성립

 

2-2. 무갈시대의 사회와 문화

  1. 물갈제국의 성립 : 16세기
  2. 3대 왕 악바르
    • 강력한 군사관료제도
    • 농업 육성
    • 힌두-이슬람 간의 종교적 융화 꾀함
  3. 샤 자한 : 인도 전역이 통일된 상황에서 원활한 행정 통치, 국내외 교역 발전에 힘쓰며 최고의 전성기 구가
  4. 아우랑제브 : 강압 통치로 국가는 분열되고 국력은 점차 쇠퇴
    • 이슬람문화의 유입 : 힌두문화에 동화되면서 인도 문화의 중요한 근간으로 자리 잡음

 

3. 근대사의 흐름

3-1. 동인도회사의 침략과 인도의 식민화

  1. 1757년 쁠랏시전투 : 영국의 식민지화 계기
  2. 부의 유출
    • 영국의 통치자들은 벵갈의 부를 인도 침략에 적극 활용
    • 동인도회사를 통해 식민 통치
    • 1858년 대반란 이후 영국 정부가 직접 통치
    • 특징 : 불법으로 착취한 엄청난 부를 자국으로 유출 → 영국의 산업혁명 촉발에 큰 역할
    • 가혹한 수탈로 인도 경제 황폐화. 모든 산업의 발전 가능성 상실

 

3-2. 종교 · 사회 개혁운동과 민족운동

  1. 영국의 근대적 교육에 힘입어 인도 내에서 종교 · 사회 개혁운동 시작
  2. 민족운동
    • 인도국민회의 : 1885년 창립. 민족운동 본격적 전개
      초기 : 영국의 통치를 긍정적으로 여기고 사회개혁을 시도하는 온건한 방법
      급진화 : 점차 영국의 통치를 종식시키자고 주장하는 급진적 입장 등장

3-3. 간디의 등장과 인도 · 파키스탄의 분리 독립

  1. 간디의 등장으로 민족운동은 모든 민족구성원이 참여하는 형태로 급진전
  2. 힌두-이슬람의 갈등 : 극복하지 못하여 1947년 결국 인도와 파키스탄으로 분리 독립

 

 

반응형

공부는 끝이 없다/세계의 역사 Related Articl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