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의 역사 본문
동남아시아의 역사
- 2025. 5. 5. 16:56
1. 다양성의 세계 동남아시아
- 다양성 : 민족과 문화, 역사적 경험 다양
- 지정학적 위치 : 기원 전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유입
- 농수산물 · 임산자원 · 지하자원 풍부, 인구가 많음 → 인도 · 중국 · 중동 · 유럽에서 상인, 외교관, 선교사들이 동남아시아 지역에 들어와 활동
-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과 미국, 일본이 식민지 건설
- 문화적 구조
- 고대 문화의 형성 : 토착문화의 전통 위에 중국 문화와 인도 문화 이식
- 13세기 말 : 이슬람문화 전파
- 16세기 : 유럽의 진출과 함계 서구문화 유입
- 19세기 : 미국 문화와 일본 문화 유입. 최근 한류의 영향
2. 동남아시아 역사에 대한 두 가지 관점
- 식민주의 시대의 역사 연구
- 서양인 학자, 식민 관리 주도 : 고대사는 인도와 중국, 근대사는 16세기 유럽인들의 도래, 현대사는 서양인들에 의한 식민 통치를 통해 형성되었다고 주장
- 동남아시아 역사의 의존성 강조 → 식민 지배 정당화
- 내부적 관점 연구
- 현지 당국 · 학자들이 주도
- 1960년대 이후 국민 통합의 이념적 바탕으로 민족주의 역사관 수립
→ 다수민족 중심의 국민국가 건설 정당화
→ 역사에 대한 왜곡된 해석을 낳았으며, 국민 통합을 위해 결코 바람직하지 않음
3. 동남아시아 민족들의 이주와 고대 왕국들
3-1. 선사시대 동남아시아 민족들의 이주와 형성
- 몽골로이드의 남하
- 선주 민족 : 오스트랄로이드 민족 → 동남아시아, 뉴기니 섬, 오세아니아의 여러 섬에 분포
- 몽골로이드의 남하 : 오스트랄로이드가 혼혈을 통해 몽골로이드에 흡수, 멸절되거나 쫓겨남
- 각 민족의 형성
- 말레이 민족 : 몽골로이드 중 가장 먼저 남하한 오스트로네시아 민족 → 신석기 · 청동기 · 철기 문화 형성
- 동남아시아의 대륙부 : 비교적 늦게 남하한 또 다른 몽골로이드 민족들(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미얀마)
- 베트남의 비엣족, 즉 월족 : 기원전 수백 년간 베트남 북부에서 왕국 설립, 기원후 점차 남하하여 오늘날의 베트남 영토 이룩
3-2. 고대 왕국들
- 고대 베트남의 정치와 문화 : 홍강 델타 중심으로 전개
- 남비엣 왕국 : 기원전 3세기에 등장, 기원전 111년 한의 식민지가 된 이후 939년까지 1,000년 넘게 중국의 통치를 받았으며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음
- 부남, 짬빠, 스리위자야, 사일렌드라, 앙코르, 버간, 란상, 아유타유 : 인도의 영향
4. 유럽과의 접촉과 동남아시아 왕국들의 흥망성쇠
4-1. 도서 동남아시아의 유럽과의 접촉
- 유럽인들의 동남아시아 진출 : 1511년 포르투갈의 믈라카 점령과 함께 시작
- 스페인,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 미국이 동남아시아에 대한 식민화를 활발하게 전개
4-2. 대륙 동남아시아 왕국들의 흥망성쇠
- 베트남 : 레왕조 → 막씨 가문 → 북부 찐 가문, 남부 응우옌 가문 → 떠이선 반란 → 융우옌왕조
- 미얀마 : 16세기 버마족이 통일(따웅우왕조) → 몬족의 공격으로 멸망 → 꼰바웅왕조
- 태국 : 아유타야왕국 → 미얀마 공격으로 멸망 → 톤부리왕조 → 라따나꼬신 왕조
- 라오스 : 란상왕국 → 17세기 분열 → 태국의 속국
- 캄보디아 : 태국과 베트남의 영향권
5. 식민주의 시대 동남아시아
5-1. 동남아시아의 식민화
- 필리핀(스페인 → 미국), 인도네시아(영국 → 네덜란드)의 식민화와 영국(피낭 섬, 싱가포르, 믈라카: 해협식민지 → 말레이 반도, 미얀마), 프랑스(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의 세력 확장
- 태국의 식민화 위기 모면 : 영국과 프랑스의 식민지 사이의 완충국(지정학적 위치),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 태국의 왕실이 주도한 현명한 근대화의 노력
5-2. 식민주의의 영향
- 식민 지배를 통해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국경 확정
- 정치제도의 변화
- 서구의 의회 민주주의가 전통적인 절대군주 체제에 대한 회의를 불러일으킴
- 서구식 행정체제가 정치제도의 혁신을 가져옴
- 경제적 변화 : 농업의 상업화와 수출경제 호황, 도시 및 상업의 발달
6. 민족주의와 현대 동남아시아의 전개
6-1. 민족주의 운동
- 초기의 민족주의 운동 : 민중의 결합과 동원을 위해 지배적인 종교에 호소
- 근대적 민족주의 운동 : 의회민주주의와 사회주의 등 서양의 정치경제적 이념에 기반
- 민족주의 지도자 : 미얀마의 아웅산, 인도네시아의 수카르노, 베트남의 호찌민
6-2. 독립과 현대 동남아시아의 전개
- 제2차 세계대전 : 일본의 동남아시아 점령 → 부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서양인들의 식민 지배도 붕괴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줌 → 민족주의적 독립운동에 활기
- 독립
- 필리핀 : 1946년 미국으로부터 주권 완전 이양
- 인도네시아 : 미국을 위시한 국제사회의 중재를 통해 독립
- 영국의 식민지 : 미얀마, 말라야, 싱가포르도 비교적 평화로운 과정을 통해 독립
- 베트남 : 전쟁을 통하여 독립
- 아세안
- 제2차 세계대전 후 냉전체제의 이념적 양극화
-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은 회원국들 간 경제 및 안보에서의 협력 강화를 목표로 1967년에 동남아국가연합, 즉 아세안 창설
- 이념적 차이보다는 실용적인 경제협력을 우선시하는 분위기 강화 → 1990년대에 베트남과 라오스 등 사회주의 국가와 미얀마, 캄보디아 가입
- 오늘날 동남아시아를 대표하는 연합체 형성 추구
반응형
RECENT COMMENT